1. Censys 란?
공개 인터넷에 연결된 장비들을 스캔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및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OSINT(공개정보 기반 정보수집) 플랫폼이다. 인터넷 공격 표면 분석과 취약 자산 탐지에 쓰이고 있다.
2. 특징
[IP, 도메인, ASN 기반 검색]
특정 IP 주소, 도메인 이름 또는 ANS을 기반으로 해당 호스트에서 열려 있는 서비스나 포트, 운영 체제, 지리적 위치 등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[TLS 인증서 분석]
SSL/TLS 인증서의 세부 정보(발급자, CN, SAN, 유효기간 등)를 분석할 수 있어 잘못 구성된 인증서를 탐지하는 데 유용함
[전 세계 인터넷 자산 조사]
인터넷상의 공개된 자산의 분포, 버전, 취약점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음
3. 사용방법
먼저 nslookup을 통해 구글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Censys에 대입해 보자.
IP 주소 기반 단위로 검색을 하면 정밀한 서비스 단위 분석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다.
도메인 단위로 검색을 하면 넓은 범위를 포괄하여 나오기 때문에 상황에 알맞게 사용하면 될 거 같다.
해당 사이트 접속 후 IP 대입
4. 결과 분석
4-1. 기본 정보 (Summary Tab)
IP : 142.250.206.196
=> Google의 글로벌 인프라
DNS : kix07s07-in-f4.1e100.net
=> Google 내부 서버의 도메인
Routing : 142.250.206.0/24 via Google (AS15169)
=> Google 자사 ASN
Services (3) : open port 3개
=> 80/HTTP , 443/HTTP , 443/UNKNOWN
4-2. HTTP (80/TCP)
IP로 직접 접근했을 때 이 서버는 www.google.com으로 리다이렉션 시킴
4-3. HTTPS (443/TCP)
유효한 도메인 이름 없이 접속한 경우에는 google은 의도적으로 Invalid 인증서 응답을 줌
=> 봇 방지
4-4.TLS 핸드셰이크 정보
TLS 버전, 암호 알고리즘, 인증서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 있다.
5. 마치며
지금까지의 Censys 결과를 보면 사실 딱히 뭔가 핵심 정보가 없는 거 같은데?라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.
왜냐하면 대상이 너무 강했던 거 아닐까 (google)
다른 취약점이 많은 사이트를 실험해 본다면 많이 정보를 얻을 수 있을 테니 도메인 또는 IP 만 넣으면 되는 편한 사이트이니 알아두면 쓸모가 있을 것이다.
'모의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ackStation - 해시 크래킹 서비스 (0) | 2025.06.24 |
---|---|
Hashcat - 해시 크래킹 도구 (0) | 2025.06.23 |
Shodan - 인터넷 검색 엔진 도구 (0) | 2025.06.18 |
sslscan - SSL/TLS 설정 분석 도구 (1) | 2025.06.18 |
Dirsearch - 웹 디렉토리 스캐닝 도구 (0) | 2025.06.17 |